월급처럼 매달 따박따박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월배당 ETF가 최근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ETF는 분기 배당 방식이어서 1년에 4번만 분배금을 지급해 왔지만, 월배당 ETF는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배당을 주는 기업이 편입되도록 상품을 구성해 놓아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월배당 ETF 중 어떤 ETF가 좋을까요? 또한 월배당 ETF 매매 시 주의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1. 월배당 ETF 매수시 주의점
한국거래소 자료에 의하면 23년 11월 말 기준으로 국내 상장된 월배당형 ETF는 총 37종입니다. 22년 6월에 월배당 ETF가 나타난 지 2년여 만에 상품수와 ETF 규모가 급증했습니다.
월배당 ETF의 장점은 많습니다.
- 연배당과 비교해, 배당금 삭감 등 부정적 이슈가 생겼을 때도 그 충격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주식을 매도하여 수익금을 챙길 필요 없이, 배당을 받아 매달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 배당을 준다는 것은 이익을 나눠줄 수 있을 만큼 기업 자체가 튼튼한 우량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량주는 비우량주 주식에 비해 변동성이 낮아 주식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반면 월배당 ETF의 주의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식 및 채권을 추종하는 ETF로 원금손실의 위험도가 높습니다. 예금이자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고 무턱대고 매입하다가는 자산의 손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당수익률뿐만 아니라 주식이 함께 오를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배당성장률을 함께 고려해주어야 합니다.
- 세금을 고려 해야합니다. 분배금에 대해 매번 15.4%의 배당소득세를 원천징수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국내 월배당ETF 중 어떤 것을 사는 것이 좋을까요?
미래에셋자산운용사에서는 23년도 기준 국내 운용사 중 가장 많은 월배당 ETF를 선보였습니다. 미래에셋의 대표 월배당 ETF로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가 있습니다.
기준가격 및 수익률
TIGER ETF 상품별 가격과 수익률을 확인해보세요.
www.tigeretf.com
2. 국내 월배당 ETF 종류
월배당을 주는 ETF 중 시가총액이 가장 큰 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가총액과 거래대금이 크다는 것은 많은 사람이 거래하기 때문에, 잠시 운용되었다가 반짝 사라지는 ETF를 피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종목명을 누르시면 네이버에서 각 ETF 별 상세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종목명 | 3개월수익률 | 거래대금(백만) | 시가총액(억)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0.1384 | 7,990 | 6,626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 0.0961 | 3,531 | 4,020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 0.0961 | 6,851 | 3,894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 0.0536 | 2,011 | 3,364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0.0958 | 2,021 | 2,138 |
미국에서는 분기배당을 주는 주식 종목들이 많으며, 따라서 미국에 상장된 ETF 및 주식을 추종하는 한국형 ETF가 주를 이룹니다.
ETF에는 크게 채권형ETF, 리츠 ETF, 주식형 ETF가 있습니다.
채권형ETF는 예금대비 높은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 리츠 ETF는 부동산에 간접투자를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주식형 ETF는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사람에게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각기 다른 이점이 있는 만큼 돈을 분산하여 구매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ETF를 고르는 판단 기준에 대해 보다 전문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미래에셋에서 발행된 다음 자료가 도움이 되리라 판단됩니다.
매월 배당금 받는 월배당형 ETF가 뜬다 - 미래에셋증권 매거진
2022년 한 해 동안 미국에서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된 ETF 4, 5위는 챨스 슈왑이 운용하는 미국배당다우존스 ETF(SCHD)와 제이피모건의 배당성장 액티브ETF(JEPI)였다. 1~3위가 S&P500 등 대표 인덱스 ETF 였
magazine.securities.miraeasset.com
배당주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다음 글도 같이 확인하시어 배당금을 놓치지 않고 받을 수 있도록 하시길 바랍니다.
주식이 상승중인 포스코홀딩스 배당금 지급일 알아보기>>
포스코홀딩스 배당금 지급일 알아보기 (24년도 포스코홀딩스 배당일 날짜)
23년 12월 31일에 포스코홀딩스 주식을 보유하였더라도 결산 배당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이는 정관을 개정하여 기존 연도말에서 '이사회가 정한 기준일'로 변경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배당
realityedu.tistory.com
기업은행 배당금 지급일 알아보기 (24년도 기업은행 배당일 날짜)
기업은행 배당일이 작년까지는 연말 (23년 12월 26일)이었더라면, 이사회 결의로 배당기준일을 확정하기로 변경되었습니다. 즉, 작년 말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더라도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realityedu.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코홀딩스 배당금 지급일 알아보기 (24년도 포스코홀딩스 배당일 날짜) (0) | 2024.01.26 |
---|---|
vi 발동(변동성 완화장치) 시간과 조건 - 정적 vi발동, 동적 vi발동 (0) | 2024.01.24 |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기준일 (해외주식 양도세) (1) | 2024.01.22 |
현대차 배당금 지급일 알아보기 (24년도 현대차 배당일 날짜) (0) | 2024.01.21 |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알아보기 (2024년 삼성전자 배당일 날짜) (0) | 2024.01.21 |